들어는 봤지만 기억에 남지 않는 부동산 용어! 오늘은 LTV 가 무엇인지 용어의 뜻과 비율, 계산방법과 시세는 어디서 확인하는 지 등 모든것을 다뤄볼 예정입니다. 함께 확인하러 가볼까요?
LTV 란 무엇인가?
LTV는 Loan To Value ratio의 약자로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입니다. 우리말로는 주택담보 인정 비율을 나타냅니다.
쉽게 말하자면 주택 담보 대출 시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대출 한도를 결정한다는 의미입니다. 주로 부동산 또는 자산에 대한 대출을 받을 때 자산의 가치 대비 대출 금액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LTV 대출 한도
보통 아파트, 주택을 구입할 때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리게 됩니다. LTV 담보 인정 비율은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최대 몇%까지 빌려줄 수 있는지 대출 한도를 결정합니다. 주택 가격에 LTV 비율을 곱하여 대출 한도를 산정합니다.
만약, LTV 비율이 50%이고, 5억짜리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고자 한다면 빌릴 수 있는 최대금액은 2억 5천만원 (5억×0.5)이 됩니다.
대출한도 = 주택 가격 X LTV |
은행에 돈을 빌린 사람이 돈을 갚지 못하는 경우에, 주택을 경매로 넘겨 처분하여 빌린 돈을 갚게 됩니다. 이 때 은행이 빌려준 금액이 주택 가격보다 높으면, 빌려준 금액을 다 받지 못하므로 LTV는 100% 이하로 설정됩니다.
우리나라에서 LTV를 인정하는 시세는 일반적으로 KB 국민은행에서 전월까지의 거래액을 기준으로 산정한 표준시세 중하위 평균가를 적용합니다.
따라서 시세는 당시의 매매가가 아니기 때문에 상승장에서 고점을 찍었을 때 LTV를 50% 인정받는다고 해도 실제로는 그 이하의 금액 부분만 빌릴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
LTV 규제 지역과 무주택, 다주택자
LTV 한도는 지역과 무주택, 주택 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
무주택자, 1주택자 | 규제지역 | 50% (기존주택 처분 조건부) |
비규제지역 | 70% (첫주택 +10%) | |
다주택자 | 규제지역 | 30% |
비규제지역 | 60% |
(2023년 1월 5일 이후 서울 특별시 강남구, 서초구, 송파구 및 용산구를 제외한 전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되었습니다.)
오늘은 LTV의 뜻과 비율, 계산 방법과 한도 등을 알아보았습니다. 소득에 관계 없이 주택 가격을 기준으로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LTV와 달리, DTI와 DSR은 연 소득과 총 부채를 기준으로 대출 한도를 결정합니다. 다음 포스팅에서는 DTI와 DS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DTI 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면? 클릭 > DTI 뜻, 계산방법, DSR / LTV와의 차이 총정리 – 부동산 기본용어
DSR 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? 클릭 > DSR 뜻, 계산방법, LTV 와의 차이점 등 총정리 – 부동산 기본용어